[2] 자바 출력하기
- 오전 4:59
- by
- 410
1. 자바의 문자열 출력은 String 이라는 클래스로부터 나온다.
2. 우리가 굳이 String을 작성할 필요는 없다.
3. 자바의 문자열 출력 명령어는 System 이라는 클래스에 기반을 둔다.
System.out.print("");
System.out.println("");
System.out.printf("","");
4. 이것들은 모두 문자열을 출력하는 명령줄이다.
5. 작성방법:
System.out.print("출력할 내용");
System.out.println("출력할 내용");
System.out.printf("%s","출력할 내용");
System.out.print("출력할" + "내용");
System.out.println("출력할 " + "내용");
System.out.printf("%s%s","출력할","내용");
System.out.println("출력할 " + "내용");
System.out.printf("%s%s","출력할","내용");
System.out.print("출력할 내용");
System.out.println("출력할 내용");
System.out.printf("%s","출력할 내용");
6. 속성
\n: 엔터키 역할을 한다. 이것 대신에 System.out.println(); 을 적어도 되지만 필자는 비추다. print문에 "" 사이에 넣어야 된다.
\t: 탭 키 역할을 한다. 필자는 실제로 작성중 탭키보다 이것을 사용하는것을 추천한다. 가끔가다 탭을 친 만큼의 공간이 깨지기도 한다. print문에 "" 사이에 넣어야 된다.
%s: 문자열
%d: 숫자열
%f: 숫자
7. 추천
필자는 주로 System.out.println();을 주로 쓴다. 굳이 \n 을 쓰거나 printf 처럼 %~ 를 쓰지 않아도 되어서 개인적으로 편하다... 하지만 편리성의 결정은 각자의 나름이다.
예제:
public class EX{
public class void main(String[]args){
System.out.print("출력할 내용");
System.out.println("출력할 내용");
System.out.print("%s","출력할 내용");
}
}
출력 결과:
출력할 내용
출력할 내용
출력할 내용
System.out.println("출력할 내용");
System.out.printf("%s","출력할 내용");
6. 속성
\n: 엔터키 역할을 한다. 이것 대신에 System.out.println(); 을 적어도 되지만 필자는 비추다. print문에 "" 사이에 넣어야 된다.
\t: 탭 키 역할을 한다. 필자는 실제로 작성중 탭키보다 이것을 사용하는것을 추천한다. 가끔가다 탭을 친 만큼의 공간이 깨지기도 한다. print문에 "" 사이에 넣어야 된다.
%s: 문자열
%d: 숫자열
%f: 숫자
7. 추천
필자는 주로 System.out.println();을 주로 쓴다. 굳이 \n 을 쓰거나 printf 처럼 %~ 를 쓰지 않아도 되어서 개인적으로 편하다... 하지만 편리성의 결정은 각자의 나름이다.
예제:
public class EX{
public class void main(String[]args){
System.out.print("출력할 내용");
System.out.println("출력할 내용");
System.out.print("%s","출력할 내용");
}
}
출력 결과:
출력할 내용
출력할 내용
출력할 내용
0 개의 댓글:
댓글 쓰기
참고: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.